인문학정보

스페인독감 원인과 피해사항 및 역사

틱톡2 2016. 10. 11. 17:16

스페인독감 원인과 피해사항 및 역사


스페인독감은 14세기 유럽에서 수많은 사망자를 낸 전염병과 함께 최악의 법유행전염병으로

1차세계대전직후 1918~1919년 인플루엔자 A형 바이러스 변형 H1N1 바이러스에 의한 독감으로

스페인 언론에서 깊이 다루면서 스페인 독감이라고 이름이 지어졌죠





스페인독감이 퍼지게된 이유는 전쟁이 끝난후 귀향하려는 병사들이 캠프에 모이게 되는데

이때 단순한 감기증상을 가지고 귀향한 병사들로 인해 전파되면서 전세계적으로 유행한 감기입니다.

스페인독감에 대한 기록은 1918년 미국 시카고에서 최초로 보도되었습니다.


사실 이러한 질병이 나타난 시기에는 과거 질병 자체를 단순히 신의 재앙으로 발생한다는 생각과 달리

어느정도 세균학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와 상하수도 및 위생관련 공증보건시설도 체계적으로

갖추고 있느 상태에서 나타난 전염병이기에 피해가 엄청나다고 할수 있습니다.


스페인 감기로 인해 전세계 인구의 절반가까이 감염되어 최대 1억명 가량이 사망한것으로 추정되며

일부 연구자는 스페인감기유행으로 1차세계대전 종결이 앞당겨 졌다고 보기도 하며

에스키고 몇개 마을 사람들이 몰살당한 일도 있습니다.





한반도에도 스페인감기때문에 인구의 절반 가까이 감염되어 약 14만명이 사망한것으로 추측되고 있으며

특히 충청남도에 가장 피해가 큰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스페인감기 치사율은 그리 높지 않지만 감염력이 엄청 높은 전염병인데 더욱 무서운것은

전염병 특성상 돌연변이가 발생해 더큰 위협이될수 있다라는 문제입니다


스페인감기는 전쟁당시 캠프에서 기르던 식용조류에서 발병한것으로 추정되며 식용돼지로 인해

돌연변이가 발생한 상태에서 면역력이 떨어진 병사들에게 감염되면서 나타난것으로 보고있습니다.





즉 스페인감기 정체는 조류독감으로 기존 조류독감은 전염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스페인감기와 같은 형태로 돌연변이가 발생한다면 전파가 가능한 형태로 변화될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스페인독감이 조류독감인것을 밝혀낸 시점은 2005년으로 처음 바이러스 추출을 시도한 1951년에는

기술이 부족해 실패했지만 스페인독감으로 죽은 시신이 알래스카에 묻혀있었는데 추운날씨로 인해

보존상태가 양호했기 때문에 1998년 발굴해서 다시 연구할수 있게 되었죠